헬스케어리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헬스케어리뷰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43)
    • 건강기능식품 소비자의 관점 (13)
    •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원료 (15)
    • 건강기능식품 영양소 (7)
    • 우리들의 건강 스토리 (8)

검색 레이어

헬스케어리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프로바이오틱스,포스트바이오틱스 소비자가 알아야만 하는 사항! 신설법안 변경! 제조기준을 알아야 하는 이유!

    2021.08.13 by 헬스케어

  • 비타민B12 소비자가 알면 좋은 제조기준 및 효능

    2021.06.24 by 헬스케어

  • 레몬딜버터 만들기! 보관법 및 소분방법 노하우!

    2021.06.17 by 헬스케어

  • 프리바이오틱스란? 소비자가 알아야만 하는 프락토올리고당 제품 제조기준&선택방법 노하우!

    2021.06.11 by 헬스케어

  • 홍경천추출물이란? 효능&제조기준 알고 구매합시다!

    2021.06.04 by 헬스케어

  • 우리가 먹는 제로콜라,제로사이다 칼로리는 왜 낮을까?

    2021.06.02 by 헬스케어

  • 녹차추출물의 효능&제품선택 시 소비자가 알아야만 하는 제조기준!

    2021.06.01 by 헬스케어

  • 커큐민이란? 역할과 효능, 면역력 높이는 방법&부작용 총정리!

    2021.05.31 by 헬스케어

프로바이오틱스,포스트바이오틱스 소비자가 알아야만 하는 사항! 신설법안 변경! 제조기준을 알아야 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오늘은 식약처의 최근 고시에 따른 프로바이오틱스 관련 법안 변경 사항이 신설되어 해당 내용을 소비자분들께 알리고자 합니다. 먼저 수 많은 제품들 중 제조업체들은 어떠한 기준으로 프로바이오틱스,포스트바이오틱스 등 제조하는 것일까요? 위의 언급드린 프로바이오틱스,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주된 성분은 유산균 입니다. 포스트란 단어는 기존 프로바이오틱스에 영양소 등을 추가한 것을 포스트바이오틱스라고 명칭하는데요 쉽게 풀이하면 그냥 말장난 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유산균(프로바이오틱스) + 아연,비타민C 등 = 포스트바이오틱스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제조사들의 제조기준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제조기준 원재료인 미생물 또는 이를 혼합한 균과 균 또는 배양체를 배양시키기 위한 배지 ..

건강기능식품 영양소 2021. 8. 13. 15:07

비타민B12 소비자가 알면 좋은 제조기준 및 효능

▶비타민 B12 란? 비타민 B12는 8갸의 비타민 B중의 하나로써, 수용성 비타민이며 코발라민(COBALAMIN)이라고도 불립니다. 생화학적으로 드물게 발견되는 원소인 코발트를 함유하는 매우 복잡한 화학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인체 모든 세포의 중요한 대사에 관계하는 생리적 활성을 가진 화합물입니다. 특히, 비타민 B12는 신경시스템, DNA합성, 지질대사 및 아미노산대사에 관련한 효소들의 조효소로써 사용됩니다. ▶비타민B12 필요한 이유 첫번째. 적혈구 생성 적혈구는 혈액의 주요 성분 중 하나로 혈류를 통해 체세포에 산소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적혈구의 세포기질은 산소와 결합하고 세포와 혈액의 붉은색을 담당하는 철을 함유하는 단백질 분자인 헤모글로빈이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두번째. DNA..

건강기능식품 영양소 2021. 6. 24. 14:03

레몬딜버터 만들기! 보관법 및 소분방법 노하우!

안녕하세요 오늘은 요즘 핫한 아이템 레몬딜버터 관련해서 포스팅을 시작해보겠습니다. 말그대로 레몬+딜 버터! 재료도 매우 간단하고, 만드는 방법도 엄청 쉬워서 누구나 쉽게 만들기가 가능합니다. 또한 요즘은 허브도 가격도 저렴하며, 요리에 풍미를 더해주는 아이템으로 사용범위가 매우 넓습니다. 특히나 생선요리의 경우 더더욱 좋은 풍미를 더해줍니다. 그렇다면 레몰딜버터만들기 순서를 알아보겠습니다. 첫번째. 재료준비 무염버터 1팩(450g), 손질된 질 20g, 레몬제스트(약 레몬2개 분량), 종이호일, 세척용 베이킹소다 두번째. 무염버터를 상온에 약 1~2시간 꺼내놓습니다. 팁으로는 위의 사진과 같이 커팅하면 표면적이 넓어져 더욱 빨리 말랑해집니다. 세번째. 레몬을 베이킹소다로 깨끗히 씻은 후 믹서기 또는 칼로..

우리들의 건강 스토리 2021. 6. 17. 13:17

프리바이오틱스란? 소비자가 알아야만 하는 프락토올리고당 제품 제조기준&선택방법 노하우!

안녕하세요 오늘은 프리바이오틱스에 대해서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프리바이오틱스란? 장내 유익한 미생물의 생장을 촉진하거나 활성화시키는 식품 속의 성분을 프리바이오틱스라고 합니다.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식이섬유(dietary fiber)로 소장에서 소화가 되지 않고 대장으로 내려가서 그곳에서 사는 유익균의 먹이가 되는 물질을 말합니다. 그 외에도 프락탄(fructan)과 갈락탄(galactan) 등과 같은 올리고당이 프리바이오틱스입니다. 프리바이오틱스를 선택적으로 섭취하는 박테리아를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라고 하며, 비피더스균(bifidobacteria)과 젖산균(lactobacillus)이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프리바이오틱스(식물학백과) 프리바이오틱스의 정의 프리..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원료 2021. 6. 11. 16:08

홍경천추출물이란? 효능&제조기준 알고 구매합시다!

▶홍경천이란? 학명은 : Rhodiola rosea L. 돌나물과 돌꽃속 바위돌꽃 서식지는 전국 고산지대 홍경천이란 한자어로써 우리말로는 바위돌꽃이라고 합니다. 예전부터 아시아 전역의 민간에서 많이 써온 약초의 종류로써 최근에는 그 효능에 관한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과학적으로 입증되면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중 하나입니다. 해외에 비해서 우리나라에는 아직 대중적으로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원료 자체가 워낙 고가여서 아는 사람만 찾는 그러한 원료입니다. ▶ 홍경천 추출물의 효능&효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인정한 효능으로는 스트레스로 인한 피로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홍경천은 오랫동안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력을 증가시키는 천연 물질인 아답토겐으로 알려져 왔었는데, 스트레스가 많을 때..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원료 2021. 6. 4. 10:24

우리가 먹는 제로콜라,제로사이다 칼로리는 왜 낮을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하고 있는 탄산음료에 관련하여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탄산음료는 이제 우리들의 일상생활속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음료가 되었습니다. 햄버거,피자,콜라 등등 없어서는 안되는 음료입니다. 주변에서 다이어트를 하시는 분들을 종종보면 제로콜라,제로사이다를 찾으시는 분들이 계시는데요, 여기서 왜 칼로리가 이렇게 낮고 단맛이 나는데 제로일까? 라는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일반적인 코카콜라의 원재료 및 영양성분을 살펴보겠습니다. 1. 코카콜라 원재료 : 정제수,액상과당,백설탕,탄산가스,카라멜색소,인산,천연착향료,카페인(향미증진제) 영양성분표를 확인해보시면 당류가 39g으로 백설탕의 칼로리 계산에 의해 열량이 160kcal 입니다. 2. 제로콜라 제로콜라의 원재료명을 확인해보시..

우리들의 건강 스토리 2021. 6. 2. 16:20

녹차추출물의 효능&제품선택 시 소비자가 알아야만 하는 제조기준!

안녕하세요 오늘은 건강기능식품의 원료 중 녹차추출물에 대하여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녹차는 국내외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식품소재로서, 원료의 주요 공급지로서 중국이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일본과 미국에서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신라시대에 처음으로 도입되어 주로 차의 형태로 섭취해 왔었습니다. 녹차의 물 또는 주정 추출물은 현재 식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산화방지제의 용도로 식품첨가물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녹차 성분 중 카테킨은 폴리페놀 화합물의 일종으로 특유의 쓴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녹차추출물을 검색 시 수많은 제품들이 출시되어 있는데 이 중에서 제조회사들은 어떠한 기준으로 제품을 생산하는지에 대하여 제조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제조기준 [원재료] : 녹차(Camellia..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원료 2021. 6. 1. 11:29

커큐민이란? 역할과 효능, 면역력 높이는 방법&부작용 총정리!

●커큐민이란? 생강목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인도를 중심으로 한 열대, 아열대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며 줄기와 뿌리를 식용, 약용 등으로 사용됩니다. 인도·중국·동남아시아 등지에서 많이 재배되며, 우리나라는 전남 진도, 전남 해남, 전북 부안, 경기 시흥, 충남 청양 등지에서 재배되고 있습니다. 꽃이삭은 잎보다 먼저 나오고 넓은 달걀 모양이며 연한 녹색의 포에 싸여 있으며, 4∼6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노란 꽃이 핍니다. 윗부분의 포는 나비가 약간 좁고 끝은 담자홍색이며 잎겨드랑이에 꽃이 달리지 않고, 뿌리줄기의 겉은 연한 노랑색이고, 속은 주홍빛으로 장뇌 같은 향기가 납니다. 강황은 뿌리줄기를 한약재로도 사용되며, 맵고 쓴 맛이 나는 황색의 약재로 통증완화와 월경불순에 효능이 있습니다. 인도에서는 타박상이..

우리들의 건강 스토리 2021. 5. 31. 15:5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6
다음
TISTORY
헬스케어리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